'Writing/Opinion'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1.11.23 SNS속 FTA 1
  2. 2011.05.30 [퍼옴] WSJ - 소셜네트워크시대 : '멍청한' 대중

SNS속 FTA

|
반응형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 아무 생각없이 인터넷을 하고 있었다.

하루 종일 검색어 상위권에 랭킹되어 있었는데, 12시가 넘은 이 시간까지 검색어 상위권에 있으니 대단한 관심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SNS 실시간검색"을 보고 있노라니..... 참 답답했다.


FTA 찬반의 옳고 그름을 말하고 싶지는 않다!

정확히 26분을 지켜보는데, 업데이트 되어 올라오는 글들을 보는 동안

100% 반대 의견만 있었고, 찬성의 글은 단 한 건도 올라오지 않았다.


좋다!! 정치적인 이야기는 모두 각설한다해도,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이 사회는 참으로 걱정스럽다. 



 
반응형
And

[퍼옴] WSJ - 소셜네트워크시대 : '멍청한' 대중

|
반응형


When We're Cowed by the Crowd
     By JONAH LEHRER         




                  미국은 대중의 지혜에 의존한다. 선거에서는 다수가최고의 정치인 결정한다. 주식 투자할 시간이 지날 수록 사람들은 자연히 최고의 회사로 몰려들게 것이라는 점도 추측해 있다. 심지어아메리칸 아이돌에서도다수의 결정 우리의 문화를 주도하는 모습을 엿볼 있다.
 

  ‘대중의 지혜 존재한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다. 여러 그룹의 사람들에게 항아리 안에 개의 구슬이 들어있는지 혹은 뉴욕시의 살인 사건 발생율은 얼마인지 추측해보라는 질문을 던지면, 각자의 빗나간 추측이 서로의실수 상쇄해주는 경향을 확인 있다. , 결과적으로 평균 응답자 답변은 놀랍게도 정확하다그러나 나쁜 소식도 있다. ‘대중의 지혜 믿기 힘들 만큼 취약한 상황으로 변하기도 한다. ‘현명한그룹이멍청한무리로 변하는 것은 순식간이다.
 

  스위스 과학자 그룹의 연구은 상황이 심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는 상호간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현대의 삶은, ‘대중의 지혜 부터 긍정적인 이점을 얻기 힘들게 만들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과학자들이 실행한 실험은 복잡하지 않았다. 연구원들은 144명의 스위스 대학생을 모아 [서로 의견을 나눌 없는] 고립된 작은 방에 앉힌 , 각각의 학생들에게취리히로 이주한 이민자 다양한 질문을 던졌다. 다수의 질문에 대해 학생들집단 정확한 답을 유추해냈다. 예를 들어이민자 질문에 대해, 학생들의 평균 예상치는 10,000명이 었으며, 당시 이민자의 정확한 수는 10,067명이었다.

  이후 과학자들은 실험 참가 학생들이 다른 학생의추측 있도록 했고, 결과적으로 응답자들은 그룹 피드백에 맞춰 자신의답변 조정할 있게 했다. 그러자 결과는 암담하게 나타났다. 느닷없이 응답자들의 추측의 범주가 현저하게 좁아졌다. 학생들은 무의식적으로 서로의 답변을 모방한 것이다. 서로의 예측이 빗나간 부분을 상쇄하는 대신 서로의 편향된 예측을 강화시켰고, 결국 한층 나쁜 결과를 빚어내게 됐다. 비록 응답자들은 타인의 생각에 견주어 자신의 추측을 재확인 있어자신이 옳다 자신감을 높혔을 수는 있지만, 자신감은 그릇된 부분에서 기인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를 두고사회적 영향력 효과라고 부른다. 연구보고서에서 과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이 최근 사이 더욱 팽배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여론조사와 페이스북, 케이블 뉴스와 트위터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대중이 없이 자신의 생각을 개진하면서,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의 생각과 믿음을 접하게 된다.


  이상적인
세상이라면, 모든 정보가 우리의 믿음을향상시킬 것이며, 미디어와 사이트에 비춰지는 다양한 관점들은 다양한 견해와 대중의 지혜를 낳을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일은 발생하고 있지 않는 처럼 보인다.


  시카고
대학교의 사회학자 제임스 에반스가 지난 50년간 발표된 3 4 편의 학술적인 논문을 분석한 최근 연구를 보면 상황을 이해할 있다. 에반스 박사는 학술 자료들의 디지털화가 정보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술 논문이 현재는 온라인에서 있다-- 학술지에서 사용하는인용구 범주는 도리어 좁아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검색 엔진들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료의 순위를 정렬하면서, 학자들은 상위자료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결국 알려지지 않은 자료는 설령 관계가 있다로 하더라고 무시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우리는 겉으로 보기엔 마치 모든것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지만, 과거에 비해 결국 모두같은것만 읽고 있게 같다. 일치된 견해를 갖는 매력을 떨쳐내기란 도무지 쉽지 않다.


  이
연구는 긴밀하게 연결된 우리의 삶의 단점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주요 기관들이 현재의 경향에 집중하는 것을 탈피하기 위해 시민들의 다양한 사고 능력에 의존한다. 바로 이것이 앞서 합중국의 헙법제정자들의 깨달음처럼, 서로 다른 다양한 관점을 가진 활발한 언론의 자유를 확립해야하는 이유이다.



새로운 모습의 대중적인 행동을 가능케 수도 있지만, 다른 형태의 대중적인 우매함을 만들어 수도 있다. 우리가 유명인사나 전문가, 페이스북의 친구들의 견해에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상의 숱한 정보를 다루게 되면서, ‘공동의 생각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우리는 스스로 사고하는 대신이미 정리된정보를 손쉽게 인용한다.


  우리는
이러한 영향력을 반드시 경계해야만한다.
 

  ‘
대중의 지혜 지킬 있는 유일한 방법은 개개인의 독립적인 사고를 지켜나가는 이다
.



출처 및 영어원문보기

반응형
And
prev | 1 | next